감마카운터를 이용한
정량적 체내분포 및 약동학 평가
감마카운터는 감마 방사선(γ-ray)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약물의 체내분포 및 약동학 연구의 맥락에서 감마카운터는 혈액이나 조직과 같은 샘플에 존재하는 방사능량을 측정하여 약물의 체내분포 및 약동학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분석의 방법과 절차는 매우 잘 정립되어 있으며 검증되어 있는 방법입니다.
방사성동위원소가 표지된 약물과 감마카운터를 이용해 약물이 어떻게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감마카운터를 이용한
정량적 체내분포 및 약동학 평가
비용효율적
감마카운터를 이용한 체내분포 및 약동학 평가
결과는 핵의학분자영상의 장점인 시각화의 혜택을 누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비용효율적이며 여전히 약물의 체내분포 및 약동학에 대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감도
감마카운터는 아주 작은 양의 방사능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질에 표지된 방사성동위원소의 물리적 반감기에 따른 약동학 평가기간의 제한으로부터 조금 더 자유롭습니다.
검증된 방법
감마카운터를 이용한 정량적 체내분포 및 약동학
평가의 방법과 절차는 매우 잘 정립되어 있으며
검증되어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프로토콜
다음은 감마 카운터를 사용한 생체분포
연구를 위한 감마 계수 분석의 일반적인
프로토콜입니다.
1. 샘플 수집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을 투여한 후 동물 또는 환자로부터 관심 샘플(예: 조직, 혈액, 소변, 대변)을 수집합니다.
2. 샘플 준비
적절한 완충액 또는 용매(예: PBS, 식염수 또는 유기 용매)로 샘플을 균질화하여 감마 계수를 위한 샘플을 준비합니다.
3. 감마 계수
균질화된 샘플을 샘플 튜브에 넣고 감마 카운터를 사용하여 계수합니다. 사용된 방사성동위원소의 방사능량와 반감기를 기준으로 적절한 시간 동안 측정하고 각 샘플에 대한 분당 카운트(CPM)로 기록합니다.
4. 표준(reference standard) 및 보정
사용된 방사성 동위원소에 대해 알려진 방사능 표준을 준비하고 감마 카운터를 사용하여 이를 계산합니다. 표준의 CPM 수와 알려진 방사능을 사용하여 표준 곡선을 그립니다. 이 곡선을 사용하여 미지 샘플의 CPM 수를 방사능 단위(예: Bq/g 또는 %ID/g)로 변환합니다.
5. 데이터 분석
방사능 단위 및 샘플의 질량을 기준으로 각 샘플에서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의 주입된 용량의 백분율(percentage of injected dose, %ID)을 계산합니다. 주입된 용량으로 나누어 %ID를 정규화하고 100을 곱하여 %ID/g를 얻습니다. 시간 또는 조직의 함수로 각 샘플에 대한 %ID/g 값을 플로팅합니다.
6. 해석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의 조직 분포, 제거 및 대사를 결정하기 위해 생체 분포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다른 조직 또는 기관에서 약물의 %ID/g 값을 비교하여 약물의 약동학 및 표적 특이성을 평가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일반적인 지침이며
특정 세부 사항은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 사용된 시험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장비
비용효율적
감마카운터를 이용한 체내분포 및 약동학 평가결과는
핵의학분자영상의 장점인 시각화의 혜택을 누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비용효율적이며 여전히 약물의
체내분포 및 약동학에 대한 정량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고감도
감마카운터는 아주 작은 양의 방사능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질에 표지된 방사성동위원소의
물리적 반감기에 따른 약동학 평가기간의 제한으로부터
조금 더 자유롭습니다.
검증된 방법
감마카운터를 이용한 정량적 체내분포 및 약동학
평가의 방법과 절차는 매우 잘 정립되어 있으며
검증되어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프로토콜
다음은 감마 카운터를 사용한 생체분포 연구를 위한 감마 계수 분석의 일반적인 프로토콜입니다.
1. 샘플 수집 →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을 투여한 후 동물 또는 환자로부터 관심 샘플(예: 조직, 혈액, 소변, 대변)을 수집합니다.
2. 샘플 준비 →
적절한 완충액 또는 용매(예: PBS, 식염수 또는 유기 용매)로 샘플을 균질화하여 감마 계수를 위한 샘플을 준비합니다.
3. 감마 계수 ↓
균질화된 샘플을 샘플 튜브에 넣고 감마 카운터를 사용하여 계수합니다. 사용된 방사성동위원소의 방사능량와 반감기를 기준으로 적절한 시간 동안 측정하고 각 샘플에 대한 분당 카운트(CPM)로 기록합니다.
6. 해석 ←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의 조직 분포, 제거 및 대사를 결정하기 위해 생체 분포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다른 조직 또는 기관에서 약물의 %ID/g 값을 비교하여 약물의 약동학 및 표적 특이성을 평가합니다.
5. 데이터 분석 ←
방사능 단위 및 샘플의 질량을 기준으로 각 샘플에서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의 주입된 용량의 백분율(percentage of injected dose, %ID)을 계산합니다. 주입된 용량으로 나누어 %ID를 정규화하고 100을 곱하여 %ID/g를 얻습니다. 시간 또는 조직의 함수로 각 샘플에 대한 %ID/g 값을 플로팅합니다.
4. 표준(reference standard) 및 보정
사용된 방사성 동위원소에 대해 알려진 방사능 표준을 준비하고 감마 카운터를 사용하여 이를 계산합니다. 표준의 CPM 수와 알려진 방사능을 사용하여 표준 곡선을 그립니다. 이 곡선을 사용하여 미지 샘플의 CPM 수를 방사능 단위(예: Bq/g 또는 %ID/g)로 변환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일반적인 지침이며 특정 세부 사항은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약물, 사용된 시험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핵의학 검체분석연구(ex vivo)의 그림설명
핵의학 검체분석연구
(ex vivo)의 그림설명
QWBA의 완전한 대안으로 분자영상과 감마카운터를 이용한 체내분포 정량분석을 이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