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 Cell RNA sequencing)을 해야 평가할 수 있었던 정보의 상당 부분을 벌크조직을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분자표적식별과 세포유형식별에 벌크조직 리보핵산 서열분석 + AI 서비스를 이용하세요!
분자표적식별
molecular target identification
분자표적식별은 약물 개발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약물이 어떤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과정으로 약물과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분자를 식별합니다. 약물이 특정 질환에 대해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 어떻게 작용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효과적인 신약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이 연구는 분자생물학적 기술들을 이용하여 수행됩니다.
•약물과 상호작용하는 분자표적의 공간적 분포를 이해
•약물표적 도출 및 재창출
•질병기전의 분포 및 약물의 작용기전 파악
세포유형식별
cell type identification
질병이 발생하는 경우 다양한 세포들이 상호작용하여 질병의 발생 및 진행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에서 특정 세포의 역할을 파악하고, 해당 유형에서 발생하는 질병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이 질병과 연관된 세포와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분자표적식별은 약물 개발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약물이 어떤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과정으로 약물과 상호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분자를 식별합니다. 약물이 특정 질환에 대해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 어떻게 작용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더 효과적인 신약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이 연구는 분자생물학적 기술들을 이용하여 수행됩니다.
약물과 상호작용하는
분자표적의 공간적 분포를 이해
약물표적 도출 및 재창출
질병기전의 분포 및
약물의 작용기전 파악
세포유형식별
cell type identification
질병이 발생하는 경우 다양한 세포들이 상호작용하여 질병의 발생 및 진행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에서 특정 세포의 역할을 파악하고, 해당 유형에서 발생하는 질병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이 질병과 연관된 세포와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Wang, X., Park, J., Susztak, K. et al. Bulk tissue cell type deconvolution with multi-subject single-cell expression reference. Nat Commun 10, 380 (2019).
논문에서 “A method that utilizes cell-type specific gene expression from single-cell RNA sequencing data to characterize cell type compositions from bulk RNA-seq data in complex tissues”로 이 기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벌크조직에서 추출한 리보핵산 서열분석 데이터에 단일세포 리보핵산 서열분석을 통해 파악한 세포 유형별 특정 유전자 발현을 결합해서 분석하여, 벌크조직 내 세포유형을 식별하고 상대적인 비율을 추정합니다.
공간전사체분석 기반 분자표적식별
Park J, Choi J, Lee JE, Choi H, Im HJ. Spatial Transcriptomics-Based Identific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Nanomedicine Distribution in Tumor Tissue. Small Methods. 2022 Nov;6(11):e2201091.
논문은 공간전사체분석과 분자영상 그리고 AI 분석기술을 결합해 약물(특히 나노약물)의 능동적인 조직 내 분포와 직접 연관된 분자표적을 식별하는 기술을 설명합니다. 약물에 형광염료를 표지한 후 얻은 분자영상 결과를 통해 약물의 조직 내 분포를 파악하고 그 조직에 대한 공간전사체분석 데이터를 결합해 분포의 분자표적을 파악합니다.